1. 번역 대상 소개
1.1 작품 소개
『한국문화와 한국인』은 국제 한국학회 회원들이 공동 집필한 한국 문화 총서이다. 이 책은 국어학, 여성사회학, 인류학, 종교학, 가정학, 심리학 등을 전공한 학자들을 동원하여 한국 문화를 통합학문적인 입장에서 저술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발굴한 개관서이다. 주로 한국의 놀이 문화, 술 문화, 종교 문화, 사회 심리 등 측면에서 보편적인 현상들을 통해 이면에 숨겨져 있는 문화의 실체를 재조명하였는바 한국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이나 외국인들이 읽어볼 만한 책이다. 이 책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번역 작업은 이미 완성되었기 때문에 필자는 「한국문화 그리고 한국인,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와 제 3 장 「한국 사회의 종교」를 번역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두 부분의 저자는 인문학 전문가인 최준식 교수이면 인문학 색채를 띠고 있다. 번역 텍스트를 충체적으로 보면 제 1 부분에서는 주로 한국학의 범주와 한국학의 접근법에 대해 검토하였고 제 2 부분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유행하고 있는 종교에 대한 소개로서 문화적인 차원에서 종교의 발원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텍스트의 유형에 있어서 원문 텍스트는 학문/교양문에 속하며 주로 전문 용어를 사용하였다. 텍스트의 편집 목적에 있어서 이 책은 한국 대학생이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 교양서이기 때문에 자신의 관점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논리적인 표현과 복합문을 많이 활용하였다.
...........................
1.2 저자 소개
최준식 1교수는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미국 템플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2 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한국학과 종교학, 그리고 죽음학을 연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종교를 넘어선 종교』, 『죽음, 또 하나의 세계』, 『죽음의 미래』, 『전생 이야기』,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무의식에서 나를 찾다』, 『길은 없지만 가야 할 길―최준식 교수, 구루이기를 거부한 유지 크리슈나무르티를설하다』, 『외계지성체의 방문과 인류 종말의 문제에 관하여』(공저) 등이 있다.
첫째, 한국 문화를 중국 국내에 소개할 필요가 있어서이다. 중한 양국은 장기간 문화 교류를 해 왔기에 문화적으로 공통점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훨씬 많으며 이러한 공통점들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가 시급하다. 특히 중한 양국 간에 발발한‘단오제’분쟁도 문화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며 양국 간의 불신이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문화 교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텍스트를 선택하였다.
둘쩨, 필자가 한국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10 년 동안 외사 담당 업무를 맡아 왔으며 중한 양국은 어떻게 자신의 문화를 상대방 국가에 소개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왔고 다른 사람들이 한국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의 경제 및 행정 체제에는 익숙하나 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기에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위해 한국 문화 관련 텍스트를 선택하였다.
.........................
2.번역 과정
2.1 번역 준비
2.1.1 배경 지식 준비
『한국 문화 와 한국인』은 한국 문화를 다양한 학문적인 시각에서 분석하는 책이기 때문에 역사, 문화 영역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며 번역 작업의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역작이 독자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역자는 번역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배경지식 준비를 해야 할 필요를 느꼈으며 지도 교수의가르침에 따라 《国史大纲》2,《韩国历史与文化》3,『다시 찾는 우리 역사』4등 저서들을 읽으면서 번역대상과 관련된 문화 용어를 습득 및 정리 하였다. 종교 부분에서 외래어과 전문어가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중국어와 한국어로 쓰여진 중교 서적들을 읽고 평형 텍스트를 통해 종교의 분류와 흐름을 파악하였으며 더욱 귄위적인 표현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원천텍스트에서 여러 모로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을 수집한 후 한국 문화를 전공하는 학우들로부터 더 상세한 배경 자료를 가져 와서 연구해 보았다.
2.1.2 번역 이론 준비
성서 번역 방법론을 연구하며 번역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유진 나이다는 등가의 개념을 이원화하여 ‘형식적 등가’와 ‘역동적 등가’로 분류하였다. ‘형식적 등가’를 추구하는 번역은 메시지 그 자체를 중요시하고‘형식’과 ‘내용’이라는 두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원천언어의 상이한 요소들과 수용 언어, 즉 목표 언어로 쓰인 메시지가 가능한 아주 근접하게 일치하도록 원천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을 가능한 한 그대로 생산하는 것이다. ‘역동적 등가’를 추구하는 번역은 원천 텍스트의 독자와 메시지 간에 존재했던 관계가, 번역 텍스트의 독자와 메시지 간에도 동일한 관계가 실질적으로 성립하도록 원천 언어로 쓰인 메세지와 가장 근접하고 자연스러운 등가물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런 ‘자연스로움’이란 단어는 세 개 영역에 적합해야 한다. 첫째는 수용 언어와 문화에 적합해야 하고, 둘째는 메시지의 맥락에 적합해야 하며 셋째는 수용 언어의 독자층에 적합해야한다. 5이런 적합함을 추구하기 위해서 번역자가 번역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목표 언어와 접근해야 하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
2.2 번역 실천 과정
번역 작업은 2018 년 7 월부터 2019 년 12 월까지 근 5 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작품 통독과 원문 준비, 번역 착수, 1 차 수정 및 2 차 수정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2018 년 7 월에 우선 번역 대상을 선정하였고 2018 년 8 월까지 원문을 직접 입력하며 준비를 하였다. 필자가 선정한 텍스트를 통독해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역사, 문화에 관한 자료를 열람하는 동시에 역사, 문화 관련어를 정리하고 배경 지식을 축적하였다.
2018 년 9 월부터 2018 년 11 월까지 번역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였다. 문화에 관한 텍스트를 번역하면서 타국 문화를 중국 본토 독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게 할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해 보았고 나이다의 역동적 등가이론을 번역 원칙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번역 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을 정리하였다.
2018 년 11 월 초 부터 11 월 중순까지 1 차 수정을 진행하였다. 번역자는 역작을 통독하면서 부적절한 부분과 오타를 수정하였다. 그리고 원문 텍스트에 흔히 나타나는 복합문을 연구 중심으로 삼아 번역법을 모색하였고 중국 현지인의 언어 습관에 맞추었다.
마지막 단계는 2 차 수정 단계이고 직장 친구들에게 부탁하여 중국어 역문의 어색한 부분을 찾아내고 모국어 독자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이런 의견들을 분석하면서 다시 역문을 수정하여 오역이 발생한 원인들을 깊이 살펴 보았다.
韩国文化论文怎么写
3.사례 분석 ........................................ 4
3.1 분역법 ........................................ 5
3.2 가역법 ........................................................ 9
3.3 어순조정법 ...................................................... 11
3.4 문장성분전환법................................... 15
4. 결론 ............................................. 18
3.사례 분석
3.1 분역법(分译法)
분역법이란 한 문장을 여러 문장으로 바꾸어 번역하는 것이며 이런 방밥을 사용하는 원인은 주로 중국어와 한국어 간의 차이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9 중국어는 문장 구성이 세밀하고 단문 간의 관련도가 높은 반면에 한국어는 문장 구성이 중국어보다 좀 느슨하고 중국어로 옮길 때 한 문장이 몇 개의 단문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필자는 나이다의 역동적 등가 이론을 활용하여 목표어 독자들과 충분히 접근시키기 위해 중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병렬식 단문과 쉼표로 문장을 분리시켰다.
전형사례:
전형사례: 사례 1:이 땅에 근본 없이 태어난 사람이 없는 것처럼 이후에 우리의 갈길이 정해져 있다면 우리는 이땅에서 욕심대로 마음대로 살 수 만은 없을 것이다.
역문:正如这片大地原本就没有人一样,如果我们已经决定好了我们的未来之路,那么我们就只能沿着希望和信念前行。
사례 2:중국도 춘절 때는 많은 인구가 이동하기는 하지만 우리처럼 설날과 추석에 두번씩이나 모두 움직이는 것이 아님을 보면 우리가 중국인들보다 희귀본능이 강한 민족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역문:虽然,中国到了春节的时候,也有很多人回家乡过年,但是不会向我们这样每年春节和 中秋节回家乡两次。由此可见,我们是一个比中国回归性更强的民族。 ——张敏、朴光海、金宣希《韩中翻译教程》p275
분석: 우선 예문들의 문법 특징을 따져보면 문장의 의미가 여러 겹으로 구성되어 연계 관계가 항상 복잡하다. 만약 한 문장으로 번역하면 언어 표현에서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분역법을 사용하여 목표어 독자들의 반응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 보면 사례 1 은 원문대로 번역하면 문장이 너무 길고 난해하기에 명사절을 안은 복합문을 단문 두 개로 분리하였고 따라서 문체가 더 간결하고 선명해졌다. 사례 2 에는 “중국도 춘절 때는 많은 인구가 이동하기는 하지만 우리처럼 설날과 추석에 두 번씩이나 모두 움직이는 것이 아님”이라는 명사절이 있으며 사례 1 과 마찬가지로 명사절을 단문으로 분리시켜 동작을 진행하는 대상인 “중국”을 주어로 삼았다. 그리고“虽然…,但…”으로 연결되는 복합문을 이용하여 의미 관계가 더 뚜렷하게 보이게 하였고 목표어 독자들의 독해 습관에 맞추었다.
韩国文化论文范文参考
4.결론
본 보고서는 한국 문화의 여러 방면을 재조명하는『한국 문화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번역 실천 보고서이다. 원천 텍스트의 번역을 통해 주된 문제인 복합문 번역 문제를 발견하여 여기에 초점두고 더 깊은 연구를 시도하였다. 복합문은 논리적으로 엄밀하며성분이 복잡한 존재로서 문장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복합문을 잘 번역하면 훌륭한 번역 작품이 될 수 있으며 복합문을 적합하지 못하게 번역하면 정보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필자는 나이다의 역동적 등가 이론에 의해 복합문 번역에 적합한 분역법, 가역법, 어순전환법과 문장성분전환법을 사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한국어에서는 긴 문장을 애용하기에 원문대로 번역하면 문장이 복잡하거나 견결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어 독자들이 해독하려면 쉬운 일이 아니다. 이리하여 문장의 간결함을 추구하기 위해 복합문을 분리시키는 분역법을 사용하여 중국 독자들과 접근하였다. 필자는 사례 5 개를 선택하여 언어 간의 차이도 규명하면서 복합문을 단문이나 문장 부호로 분리 시켜 뜻을 더 선명하게 하였다.
번역 과정에서 가역법에 의한 번역한 사례가 많이 나왔으며 본문은 문장 성분의 첨가에만 초점을 두고 사례 5 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어 문법에서 문맥으로 보아 어떤 문장 성분은 나타나지 않아도 그 문장의 주성분이 무엇인지 알수 있는 경우에는 그 성분을 생략할 수 있기에 변역 과정에서 다시 환원시켜 중국어 문장을 더 유창하고 명확하게 만들었다.
参考文献(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