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론
1.1 연구 목적
각 나라의 언어에는 관용어가 많이 존재하는데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한중 양국도 예외가 아니다. 관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각 나라의 언어를 더욱 풍부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고, 일상생활과 밀착돼 친근감을 표현할 수 있어서, 관용어의 사용은 종종 재치있고 유머러스하며 묘미 넘치는 느낌을 준다. 관용어는 글자의 의미와 상징의 의미를 겸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글자의 의미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더 강하다.
관용어의 심층 의미에 대한 이해는 각 구성 요소의 어의를 간단히 더 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의 의미를 넘어선 상징적인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의미론적 관점에서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설명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렵고 인지 언어학의 은유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다. 이는 관용어는 사람들의 인지와 경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은유는 인간의 체험을 토대로, 구체적이고, 널리 알려지고, 익숙한 것들로 추상적이고, 알려지지 않고, 익숙하지 않은 것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은유는 다른 종류의 사물을 사용함으로써 한 종류의 사물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은유의 관점에서 관용어를 분석하면 관용어의 더 깊은 심층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은 모든 생명체의 시작점으로서 생명을 탄생시키고 유지시켰을 뿐만 아니라 인류 문명의 요람이기도 하다. 이 지구 상 모든 생명체의 생존, 운동 및 번영은 물을 필수로 하기 때문에 물은 자연스럽게 인류가 세계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 개념 중의 하나로 되었다. 물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의존하는 자연적 요소 중 하나인 불은 인간과 동물의 차이점을 만들어 냈고 원시인이 문명 사회에 접어드는 중요한 상징이 되었으며 인간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물'과 '불'은 인간 문명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자연 요소로서 시종일관 인류 문명 발전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인간 인지의 기초이자 출발점으로 되었다. 따라서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뿌리 깊은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1.2 선행 연구
한중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에 대한 대조 연구는 거의 없다. 중국과 한국에서 진행된 '물' 또는 '불'에 대한 연구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卢凌芸(2012)1은 '물' 어군의 어의 범주를 분석하였다. 그는 '물' 어군의 어의 범주는 일종의 다의적인 복잡한 범주라고 하였다. '물'은 하나의 단음절 단어로서 자연계의 물질만을 뜻하는 명사에서 의미가 풍부한 다의어로 발전하였다. 그 후 어휘가 쌍음절화되는 추세에 따라 물로 이루어진 다량의 합성어가 생겨났고 더 풍부한 어의 범주를 형성하게 되었다. '물' 어구에 있는 관용어와 사자성어의 실제 의미는 대부분 은유적인 방식으로 얻어진다고 하였다. 구체적인 '물'의 속성, 기능 등을 구체적인 목표 영역에 투사2(mapping)함으로서 물이 품성, 감정, 사회환경 등 추상적인 개념을 가리키게 되었다고 하였다.
林菁(2014)3은 <汉语大词典>4에 수록된 어소인 '물'이 등장하는 단의어사(单义语词)를 분석하였다. '물' 의항 사이의 파생의와 어소인 '물'이 등장하는 어구의 어의 생성은 수사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지고 중국어 어휘의 어의 파생은 수사화를 통해 어의를 형성하고, 인간 인지 메커니즘의 주관적 요소와 직결되며 언어 표현의 '결석'을 메우고, 언어 활용 시 실제 활용의 객관적 수요와의 모순을 해결하였다고 하였다.
李楠(2017)5은 '물'이 포함된 사자성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레이코프와 존슨(Lakoff& Johnson)의 은유 이론에 따라 '물'을 포함한 사자성어에서 개념 은유를 네 부류로 나누었다. 물을 운동으로, 힘으로, 여자로, 감정으로 은유하였다. 다음으로 '물'이 포함된 사자성어 어원의와 어의에 근거하여 '물'을 포함한 사자성어를 '현상류(显象类), 의상류(拟象类), 차상류(借象类)'6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 문화언어학의 이론을 응용하여 '물'이라는 사자성어에서 포함한 문화적 함의를 분석하여 농업생산, 생식숭배, 처신 및 유가, 도가, 묵가 사상에서 나타난 치국 이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표 2> '불'과 '火'의 사전적 의미
제 2 장 관용어의 정의 및 특징
2.1 중국어 관용어의 정의 및 특징
관용어를 최초로 연구한 冯凡은 '관용어는 구조가 정형화되고 의미가 완전히 고정된 어구라고 하였다. 이는 관용어가 단어와 다를 뿐만 아니라 단어와 단어로 이루어진 보통의 어구와도 다르다. 관용어의 전체 의미는 의미의 추상화를 뜻하며, 어구 본연의 구체적 내용을 떠나, 완전히 새로운 개괄적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관용어의 구조는 정형화되어 있으면서도 융통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관용어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성분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21라고 하였다. 중국의 관용어 연구는 马国凡(1980)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马国凡, 高歌东(2000)22은 '관용어는 의미부터 구조까지 완전하고 통일된 형태를 가진 정형화된 어구이고 관용구의 구성 성분이 구조의 전체에서 벗어나면 그것은 관용어가 표시한 의미를 표시하지 않는다'라고 보았다. 또한 이 책에서는 '관용어는 언어 구조상 대개 3 음절(글자 수)의 짧은 음절의 단어로 이루어졌으며 관용어는 알기 쉬운 구어로 사용하고, 일상 구어와 매우 비슷하다'라는 견해도 제기하였다. 施宝义(1982)23는 '관용어는 통상적으로 비유의 정형화'라고 하였다. 王德春은 <新惯用语词典·序言>24에서 '관용어 성분 간의 구조적인 관계는 고정적이지만 융통성도 지니고 있어 성분 간에 다른 성분을 삽입할 수 있다'라고 하였고 비유와 같은 방법으로 수사적 전의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黄伯荣, 廖旭东의 <现代汉语>(2007)에서는 관용어를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구어에서 매우 짧고 정형화된 어구를 말하며, 대부분 세 글자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라고 정의를 내렸다.
이로부터 중국어 관용어는 사자성어, 속담(안어, 谚语), 헐후어(歇后语)등과 함께 숙어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 아래에서는 중국어의 관용어가 사자성어, 안어, 헐후어 등 다른 언어 형식과 비교할 때 어떤 다른 특징이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관용어와 사자성어의 차이점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现代汉语>25에서는 사자성어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사자성어는 의미가 풍부하고 문어적인 의미를 지닌 고정된 표현이다. 예를 들어 '破釜沉舟', '四面楚歌', '大刀阔斧' 등이 있다. 또한 사자성어는 의미의 전체성, 구성의 응고성, 풍격의 전아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국어에서의관용어와 사자성어의 차이는 4 가지가 있다. ①사자성어는 서면성이 강한 반면, 관용어는 구어성이 강하다. 사자성어는 서면성이 강하고 대다수가 사실적이며 역사의 관용성이 강해 전고를 갖고 있는 것이 많은 반면, 관용어는 구어성이 강하고 대중이 많이 쓰며 구두 창작으로 나오는 것이 많다. ②음절의 글자 수를 보면 사자성어는 4 글자 위주이고, 관용어는 3 글자 위주지만 5, 6, 7, 8 글자의 관용어도 적지 않게 있다. ③사자성어의 구성 성분은 단음절 위주이고 관용어는 단음절과 쌍음절을 같이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사자성어는 관용어보다 내부 구조가 복잡하다. ④관용어와 사자성어 모두 일종의 고정된 표현이지만 사자성어는 구조상 함부로 변동할 수 없고 성분을 줄이거나 교체하거나 순서를 바꿀 수 없는 반면에 관용어는 사자성어만큼 엄격한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
2.2 한국어 관용어의 정의 및 특징
<관용어 사전>28에서는: '관용어는 구성 낱말의 뜻과는 별개의 뜻을 가진 어휘 복합체가 문장 내에서 하나의 구성 성분으로 기능하는 언어 단위를 가리킨다. 이러한 관용어는 비유적 표현이 관습적으로 쓰이다가 하나의 굳은 형태로 통용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때 관용어의 뜻은 구성 어휘의 개별적 뜻을 합해도 알 수 없다'라고 하였다.
<현대국어 관용어 연구>29에서는: '관용어는 단어와 단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적 단어를 이루는 특별한 종류의 표현 형식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관용어(즉 이디엄)는 구절형이며 하나의 의미적 단위로 결합된 특별한 언어 단위를 말한다'라고 하였다. 관용어가 갖고 있는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대부분의 관용어는 개별 언어의 원화자들이 갖고 있었던 '전통, 습관, 생활환경, 사고방식, 풍물사정' 등으로부터 생성된 특유의 표현 양식이며 문법적으로나 논리적으로 규정하기 어려운 의미 단위이다. ②관용어가 갖는 통어적 결합은 그 구성 요소의 의미만으로는 구절 전체 의미가 이해될 수 없는 특이한 의미구조를 가진 표현 형식으로, 관용어를 이루고 있는 개개 단어의 의미와는 별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③ 관용어의 구성요소가 되는 단어는 그 단어의 결합으로 밖에 쓰일 수 없는 관용적 표현 구조를 갖추고 있다. ④관용어를 이루고 있는 하나하나의 어휘는 각각 독립된 의미이면서 그들의 구성체인 관용어 전체로서의 의미는 각 구성요소의 의미에 구속되지 않는 별도의 단일어의 의미를 갖는다.
김문창(1974)30은 관용어에 대해 '어사 두개 이상으로 구성된 하나의 구(절)이며, 문법·의미·통사 등 관점에서 특수한 구조와 구성요소 간에도 특별히 긴밀한 결합도를 갖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일종의 화석형들이다'라고 설명하였다.
박영순(1985)31은 관용어를 '두개 이상의 단어로 결합된 언어 형태로 대중들 사이에서는 보편적으로 통용되나 비논리적이고 탈문법적인 표현의 특수한 말들'이라고 정의하였다.
...............................
제 3 장 한중 '물'과 '불'의 사전적 의미 및 관용어의 형태-의미 대조 .................................. 9
3.1 한중 '물'과 '불'의 사전적 의미 대조 ............................................... 9
3.1.1 한중 '물'의 사전적 의미 대조 ...................................... 9
3.1.2 한중 '불'의 사전적 의미 대조 ............................... 10
제 4 장 한중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의 은유 대조 ...................................... 25
4.1 한중 '물'과 관련된 관용어의 은유 대조 ........................................ 26
4.1.1 한중 '물'과 관련된 관용어에 모두 있는 은유 ...................................... 26
4.1.2 한국어 '물'과 관련된 관용어에만 있는 은유 ..................................... 35
제 5 장 결론 ................................... 58
제 4 장 한중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의 은유 대조
4.1 한중 '물'과 관련된 관용어의 은유 대조
여기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물'과 관련된 은유 표현을 정리하고, 물이 은유 할 수 있는 목표 영역에 대해 돈, 시간, 힘/정신/의지, 여자, 발단, 고통/행복, 재난/번거로움, 짧음, 어떤 태도, 평범함, 환경, 정화/치유, 사라짐, 사물의 운동, 관계, 사물이 처한 상태, 말, 성장, 장애/거리, 대립, 유리한 조건, 허위/비진실 등 총 22개의 목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근원 영역에서 목표 영역으로 투사되는 과정에는, 두 개념 영역 사이의 모양 외관의 유사성에 치중하는 관용어도 있고, 둘 사이의 성질 속성의 유사성 혹은 상태의 유사성에 치중하는 것도 있다. 인간의 인지구조와 생존환경의 공통성과 한중 양국의 지리문화, 사고방식 등의 차이를 바탕으로 한중 '물'과 관련된 관용어의 은유 의미는 대량의 공통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도 있다. 여기에서는 주로 이 22 개의 목표 영역 중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물의 은유 의미와 각각의 구체적인 은유적 투사의 인지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4.1.1 한중 '물'과 관련된 관용어에 모두 있는 은유
한국어와 중국어의 '물'과 관련된 관용어 중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은유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물'의 3 차원 지향적 은유
3 차원 지향적 은유는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범위를 하나의 '그릇'으로 보는 것으로, 그릇은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있어 물체를 담을 수 있는 입체적 물건이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는 길이, 너비, 높이의 세 개의 입체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사람들은 이런 개념을 주변 세계의 다른 물체에 투사한다. 예를 들어 '물'이라는 물체에 투사할 때 물은 그릇의 기능, 내외 구분 등 3 차원 공간의 속성을 가진다.
한국어에서 '물'과 관련된 관용어에도 3 차원 공간의 속성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물 위의 기름', '물꼬를 트다', '물에 빠진 생쥐', '봇물을 터뜨리다', '물이 오르다', '물(이) 내리다'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높이'를 보면, '물 위의 기름'에서는 기름이 위에 있고, 물이 아래에 있다. '물'을 '용기'로 보는 관용어를 보면 '물꼬를 트다'에 '트다'는 열다는 의미가 있어, 물을 하나의 용기로 보아 안과 밖의 개념이 적용이 되며, '문'을 열었을 때 안쪽에 있던 물이 밖으로 흘러나올 수도 있고, 밖에 있던 물이 안쪽으로 흘러 들어갈 수 도 있다. 또 '같은 물에서 놀다', '물에 빠진 생쥐', '구정물을 뒤집어쓰다'도 '물'을 용기로 보았고, 그중 '뒤집어쓰다'는 '몸 전체를 가리도록 덮다'는 의미가 있어, 사람이 구정물을 뒤집어쓰기 전 사람은 구정물의 밖에 있지만 뒤집어쓰게 되면 사람은 구정물의 안쪽에 있게 된다. 이 또한 물을 하나의 안과 밖이 있는 용기로 본 관용어다.
그림 1: 물-돈의 은유적 투사의 모델
.................................
제 5 장 결론
한국어와 중국어 관용어는 오랜 생활과 생산을 통해 형성되고 축적이 되어, 한국과 중국 두 민족의 특성과 가치관, 문화를 반영한다. 관용어는 사람들의 입에서 입을 통해서 생성되고 시간에 따라 변화되기도 하지만, 일정한 형식을 갖고 있으며, 민족의 문화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언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사전에서 '물'과 관련된 관용어 한국어 112 개, 중국어 799 개, '불'과 관련된 관용어 한국어 60 개, 중국어 482 개를 찾아내고, 이들 관용어의 의미 및 이들 관용어 중에서 나타나는 물과 불의 의미에 대해 정리 분석 대조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중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의 형태와 의미의 관계를 동형동의, 동형이의, 이형동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물'과 관련된 관용어의 형식 비교를 통해 12 개 동형동의, 4 개 동형이의, 11 개 이형동의 관용어를 정리하였고, '불'과 관련된 관용어의 경우에는 4 개 동형동의, 4 개 동형이의, 6 개 이형이의 관용어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Lakoff & Jonson 의 개념 은유이론을 참고하여 한국어과 중국어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의 생성 및 이해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한중 '물', '불'과 관련된 관용어 중의 물과 불의 의미에 대해 대조 분석하였다.
'물'과 관련된 관용어 중 물의 은유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중 양국은 모두 지향적 은유, 구조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라는 3 가지 은유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조적 은유 측면에서 두 민족의 '물'에 대한 연상 인지는 완전히 똑같았다. 존재론적 은유의 경우에는 한중 관용어에서 '물'은 6 개의 동일한 근원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이 6 개의 근원 영역이 투사하는 목표 영역도 모두 일치하였다. 존재론적 은유에서 '동태' 속성을 가진 목표 영역의 범위가 가장 넓다. 단, 존재론적 은유에서 한 가지 다른 근원 영역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물의 외관 모양을 근원 영역으로 투사를 통해 목표 영역인 '여자'를 은유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특이한 부분으로 물의 청탁 속성을 근원 영역으로 하고 '정화/치유'로 은유하는 것도 있었다. 또한 지향적 은유 상에서 '물'과 관련된 관용어는 한중 모두 3 차원 공간에 많이 분포되어 있지만, 한국어에는 1 차원 공간과 2 차원 공간 은유가 없는 반면, 중국어에는 3 차원 공간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1 차원 공간이고, 2 차원 공간이 가장 적다.
参考文献(略)